이희선 안전본부장, 현장체험학습과 수학여행에 안전요원 배치 강조

기사승인 2025.03.14  22:41:50

공유
   
▲ 안전요원 강사교육과정에 참가한 교육생들이 심폐소생술 자격증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교육그룹 더필드)



[nEn 뉴스에듀신문] 현장 체험학습 중 발생한 학생 사망사고와 관련하여 인솔교사에게 금고 6개월,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된 판결에 대해 교원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난 2022년 11월 11일, 강원도 속초시의 한 테마파크에서 현장 체험학습 중이던 초등학생이 주차장에서 움직이던 버스에 치여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대해 춘천지방법원은 지난 2우러 11일 인솔교사에게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유죄를 선고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학생도, 교사도 보호하지 못하는 현행 현장 체험학습은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사노조연맹은 "법과 제도, 판결이 현장 체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로부터 교사를 보호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교육그룹 더필드의 이희선 본부장이 현장체험학습과 수학여행에 안전요원 배치를 필수로 강조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1. 위험 환경 대비
- 예측 불가능한 변수 관리: 야외 활동은 교실과 달리 날씨, 지형, 교통, 인파 등 변수가 많다. 안전요원은 위험 예측 및 대응 훈련을 받아 사전 점검과 실시간 대응으로 사고를 방지한다.

2. 전문적 응급 대처
- 신속한 응급조치: 학생의 갑작스러운 질환이나 부상 시, 안전요원은 즉각적인 CPR, 지혈 등 의료 조치를 통해 상황 악화를 막는다. 교사는 교육 역할에 집중할 수 있다.

ad26

3. 법적·윤리적 책임 충족
- 학부모 신뢰 구축: 안전요원 배치는 학교의 책임감을 보여주며, 사고 발생 시 법적 분쟁을 예방한다. 최근 교육청 규정에서도 안전 인력 확보를 권고하고 있다.

4. 체계적 일정 관리
- 집단 통제 및 이동 안전: 대규모 학생 단체가 장소 이동 시 차량 탑승, 횡단 보도 통과 등에서 안전요원이 질서를 유도해 낙오자나 교통사고를 방지한다.

5. 맞춤형 안전 계획 수립
- 현장별 리스크 평가: 안전요원은 사전 답사를 통해 활동 장소의 위험 요소(예: 수심 깊이, 낙석 구역)를 식별하고,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수립한다.

6. 학생 심리 안정
- 안전감 제공: 안전요원의 존재로 학생들은 모험적 활동에 대한 두려움 없이 교육적 경험에 집중할 수 있다.

7. 교사 업무 경감
- 역할 분담 효율화: 교사는 학습 지도에 전념하고, 안전요원은 보안·감독을 담당해 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다.

교육그룹 더필드 이희선 훈련본부장(한국안전요원연합회 사무총장)은 "안전요원은 단순히 사고를 대비하는 것을 넘어, 체험학습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면서. "안전사고의 예방적 체계 구축이 학생의 학습 권리 보장과 교육 기관의 신뢰도 제고에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이어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행사는 인원 통제 및 안전 확보가 쉽지 않아 안전사고율이 더 높다”면서 “만일의 안전사고에 우왕좌왕 하지 않고 신속, 정확, 침착하게 현장상황에 대처해야 제2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전요원 자격증 소지자 파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교육그룹 더필드 홈페이지 또는 전화( 02-2208-0116 )로 문의 하면 된다.

김순복 기자 aha080@gmail.com

<저작권자 © 뉴스에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